고용노동부는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 주재로 6대 철강사인 현대제철, 포스코,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KG스틸의 최고안전책임자(CSO)와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에서 간담회를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배터리 업계, 조선업계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된 업종별 간담회다.
고용노동부는 27일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에서 국내 6대 철강사 최고안전책임자(CSO)와 안전보건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고용노동부]
철강업은 중량물과 인화성 물질 취급 등 다수 공정에 고위험 작업이 포함돼 중대재해 발생 위험이 크다. 실제로 지난해 철강업에서 15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철강업 사고 사망자 수는 2022년 15명, 2023년 16명, 2024년 15명이며, 올해 1분기에만 3명이 숨졌다.
철강업은 용광로에서 고열 작업이 이뤄지는 대표적인 폭염 고위험 업종이다. 본격적인 무더위에 접어들며 작업 현장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고용부는 이에 대해 △용광로 등에서 고열 작업 시 복사열 차단 △신규 배치자 단계적 고열 순응 조치 △방열 장갑과 방열복 등 보호구 지급 등 안전보건 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을 막기 위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제공하는 등 내용을 담은 ‘폭염 안전 5대 기본 수칙(물, 바람·그늘, 휴식, 보냉장구, 응급조치)’의 준수도 강조됐다.
아울러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화재·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점화원 차단과 설비 이상 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비상대피시설의 유지·관리 및 주기적인 비상대응훈련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고용부는 이날 철강업계에 “최근 중대재해가 발생한 철강업체의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기획감독을 실시한 바 있다”며 “앞으로도 중대재해가 반복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철저한 감독과 수사 등을 통해 엄정한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