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22일 국민체력인증등급을 3등급에서 6등급으로 세분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국민체력100 사업의 일환으로, 체력인증등급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시행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체력 측정·평가와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국민체력100’ 사업을 통해 국민의 체력 증진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국 75개 체력인증센터에서 체력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참여자들은 1~3등급의 체력인증서나 참가증을 받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체력인증등급을 3등급에서 6등급으로 세분화한다고 밝혔다. 개정된 국민체력인증등급 체계도 [자료=문화체육관광부]


그러나 기존의 3등급 체계는 기준이 높아, 지난해 참여자의 약 60%가 ‘등급 외’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체력인증등급을 6등급으로 세분화해, 더 많은 국민이 체력 증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개정된 규정에 따르면, 청소년과 성인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 4개 항목에서 상위 70% 이상을 충족해야만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개정으로, 근지구력과 유연성에서 상위 70% 미만이어도, 심폐지구력 또는 근력 중 최소 하나라도 70% 이상이면 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참여자 신분증 확인이 의무화되고,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률 기준은 대한비만학회 기준에 맞춰 조정되었으며, 백분위 표기 방법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이번 개정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정확한 등급을 받고, 그에 맞는 운동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체력이 약한 사람들의 참여가 늘어나면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매년 작성되는 ‘국민체력측정통계’에 반영되어,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체력인증등급의 세분화로 정밀한 운동 처방이 가능해지며, 국민 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체력인증센터를 확충하고, 체력 측정 및 운동 처방을 고도화하여 국민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