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5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261건의 지정문화유산에 대한 정기조사를 시작한다. 이번 조사는 4차 정기조사(2025~2027)의 첫해로, 기존 지정문화유산 218건에 새롭게 지정된 43건을 더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2025년부터 3년간 261건의 지정문화유산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보존·보수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조사 현장 사진은 3년 전 정기조사와 비교하여 변화 상태를 검토하는 데 활용된다. [사진=서울특별시 문화유산활용과]
조사 대상에는 유형문화유산 160건, 민속문화유산 28건, 등록문화유산 11건, 문화유산자료 25건, 기념물 28건, 자연유산 9건이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자산들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산들이다. 조사 대상은 종로구(78건), 중구(26건)를 비롯해 성북구 등 다른 자치구에도 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 지정유산의 유형과 특성에 따라 맞춤형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찰과 같은 ‘부동산유산’은 안전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며, 사진 촬영, 육안 조사, 변위 및 기울기 측정, 균열 측정 등이 포함된다. 반면, 그림 등의 ‘동산유산’은 재질별로 곰팡이, 해충, 미생물 손상 등을 면밀히 조사한다. ‘자연유산’은 식물과 지질 등 환경 특성에 맞는 종합조사가 이루어진다.
조사 결과는 보존 상태에 따라 A부터 F까지 등급이 매겨지며, 이는 서울시 국가유산위원회의 전문가로 구성된 등급조정위원회의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특히 3년 전 정기조사와 올해 조사의 사진을 비교하여 변화 상태를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사 결과는 국가유산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각 자치구에 전파되어 체계적으로 자료를 축적하고 공유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정기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존 상태가 취약한 문화유산에 대한 보수 정비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들이 더 가깝고 쉽게 문화유산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경자인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장은 “이번 조사는 우리 주변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 온전히 물려 주기 위한 건강검진과 같다”라며 “서울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지정유산 소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